내 생각은 한결 같다. 전통시장의 몰락은 막을 수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가장 중요한 식품의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정부는 무슨 생각으로 온누리 상품권이나 등등의 것들로 돈을 투자하는지 모르겠는데 나는 일종의 정치 쇼로 생각한다.
어차피 그런것에는 돈이 얼마 투자되지 않으니 약자를 보호하는 척이라고 해야할까? TV에서 워낙 선거철마다 전통시장을 돌며 사진 찍고 유세를 떨치는 것을 많이 봐 왔기 때문에 정부의 전통시장 정책은 척이라고 밖에 생각할 수 없다.
아무튼 그런 지원을 떠나 전통시장은 역사적으로 사라질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필자는 말하고 싶다. 대형마트의 돈의 힘이라고만 말할 수 없다. 앞서 말한 상품의 품질이 솔직히 전통시장이 너무 떨어지기 때문에 굳이 거기까지 갈 필요가 없다고 느껴진다.
위생상 문제점 또한 심각하다. 대형마트는 위생은 철저하다. 문제가 발생해도 별 탈 없이 교환해준다. 그러나 전통 시장은 그렇지 않다. 뭐 하나 사면 바꾸기가 엄청나게 힘들다. 상품이 문제가 있는대도 말이다.
누가 자기 돈 주고 사서 그런 대우 받고 싶을까?
상품의 질, 교환, 이것만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보통 전통시장하면 인심이라고 부각시키는데 전혀 인심이 없다. 어리버리하게 있으면 바가지 씌우기 쉽상. 어떤 사람은 싸게 사고 어떤 사람은 비싸게 산다.. 참으로 문제이지 않나?
지져분한 환경, 주차시설, 대형마트는 언제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전통시장은 언제나 더럽다. 조합이나 어떤 단체에 의해 관리는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어디까지나 상점은 개개인의 곳이기 때문에 그런 환경에 대한 점은 언제나 남일.. 그냥 단순히 파는 것만 생각하는 것이 그 전통시장이다.
그리고 주차시설은 언제나 불편한지 그곳에 또 가고 싶을까?
여러 이유를 말했지만 역시나 품질 위생 서비스가 큰 문제이다. 시장의 기업화가 제대로 되지 않는 이상 대형 마트에 갈 수 밖에 없다. 게대가 요즘은 흥정을 싫어한다. 시장 들어가자 마자 사람 붙잡고 하는 판매 행위가 상당히 부담스럽다.
용산의 용팔이라 좀 유명하지 않은가? 그리고 대형마트가 시장의 진화형으로 보지 않는 시선 또한 문제가 있다고 본다.
무조건 대형 마트를 대기업은 어떤 산물, 자본주의의 산물이라 보지는 말고 시장의 하나의 진화형으로 제대로 인식을 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전통시장도 정당한 경쟁자라 여기고 대형 마트의 어떤 시스템을 받아들어 진화할 수 있는 것이지 전통이라는 단어의 함정에 빠져 시대 흐름을 역행하면 사람이 전부 떠나고 망한뒤에 책임은 누가 지려고 그러는지... 참 아이러니 하다.